본문 바로가기

OS/Linux

[리눅스]명령어 netstat, 열린 포트 검색

기본 명령어 ls : 디렉토리 안에 리스트 보기 mkdir : 디렉토리 생성 rm : 파일 삭제하기 cd : 디렉토리 안에 들어가기 mv : 디렉토리나 파일 옴기기 cp : 복사하기 cat : 내용보기 pwd : 현재 위치 경로 보기 ln :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링크 걸긔 tab : 파일명 및 디렉토리명 자동 완성(단, 파일과 디렉토리가 있을경우에 자동완성됨) ifconfig : 아이피 확인하기 (root에서 사용) 유저 생성 하기 root : 환경에서 사용하기 adduser '유저명' passwd '패스워드' '변경할 유저명' 방화벽 설정 service iptables stop service iptables start 호스트네임 설정하기 vi /etc/sysconfig/networks ---> HostName='원하는 호스트 네임명' init 6 ---> 재시작해야 호스트명 적용됨. 환경설정 파일 설정 vi /etc/profile : 리눅스 환경설정파일 호스트정보 설정 vi /etc/hosts 압축 해제 및 압축하기 tar xvfzp '압축 해제 파일명' tar cvfpz '압축할 디렉토리 및 파일' '압축 파일명' 압축 해제 명령어 zip파일 압축해제 unzip '파일명' tar파일 압축해제 tar xvfzp '파일명' tar.bz2 압축 -> tar jcf '파일명' 압축해제 -> tar xfj '파일명' bz2확장자 압축 bzip2 , bunzip2 -z : 압축합니다. -d : 압축해제 -k : 파일 압축 or 해제시 원본 파일을 이주지 않습니다. -v : 작업사항을 보기 -s : bzip2가 작업 중 사용하는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. vi 편집기 명령어 i : 커서 위치 글자 앞에서 입력모드 변경 a : 커서 위치 글자 뒤에 삽입 가능 o : 커서 위치 글자 다음줄에 삽입 0 : 커서 위치 글자 윗 줄에 삽입 dd : 커서 위치 행 삭제 dw : 단어 삭제 yy : 커서 라인 복사 u : 되돌리기 p : 붙여넣기 w : 변경사항 저장 wq : 변경사항 저장 후 종료 q : 변경사항 없이 종료 / : 검색 (ex. /test [다음단어 : n, 이전 단어 : N) ^ : 라인에서 제일 앞으로 커서 이동 $ : 라인에서 제일 뒤로 커서 이동 W : 커서를 단어씩 뒤로 이동 gg : 첫 행으로 이동 G : 마지막 행으로 이동 12G : 12번째 행으로 이동 netstat는 열려있는 포트 번호를 검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. netstat는 -ntlp를 같이 외워서 netstat -ntlp를 쓰면 좋다. [출처] [리눅스]명령어 netstat, 열린 포트 검색|작성자 용식이